필리핀유학

[필리핀 조기유학+싱가폴 대학]만약 여러분이 고1, 고2, 고3이라면...

비니대디 2012. 6. 7. 10:36

  굿데이입니다. 월요일 같은 목요일이네요. 6월 6일 현충일은 다들 잘 보내셨는지...?  

어제는 집안 정리를 했는데 역시 집사람의 결단력(?)은 대단하더군요^^. 버릴건 망서리지 않고

버리더군요. 오래동안 보지 않은 책이라고 제 책을...;; 평소에 열심히 봐야 할거 같습니다. 

 최근에 많이 문의가 오는 내용이 있습니다. 제 아이가 고 1인데 또는 고2인데 공부에 문제가

있다던가, 한국 공부에 맞지 않다던가 그런 저런 이유로 유학을 떠나고 싶다라는 내용입니다. 

 

 오늘은 조기유학이라고 하긴 애메하고 그렇다고 대학을 가기엔 너무 이른 나이인 고1, 고2, 고3 학생의 외국 진로에 대해 글을 적어보려 합니다. 이 나이때 무작정 유학을 떠난다는건 아이를 다시

힘들게 만들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이 나이의 학생들이 대학생 마냥 부모님들이 보내놓고 풀어버리기엔 너무 여물지 않은 시기이기도 하고요. 전 이런경우 카운셀링을 할때 이 시기는 그래도 대학을 바라보고 보내야 하는 시기가 맞다라고 얘기합니다. 그래서 학생의 진학 역시 대학교에 포커스를 두고 얘길 합니다. 이런 의미에서 필리핀이라는 나라와 그 나라의 교육제도는 학생들에게 굉장히 큰 하나의 길을 제시해 줍니다.

  필리핀은 향후 3년까지는 우리나라가 12년제인거와는 달리 10년제를 유지합니다. 어떻게 보면

이 방법으로 유학을 하는것도 막차에 해당하겠죠. 필리핀의 학년제가 짧기 때문에 졸업후 갈 수

있는 대학들도 제한적입니다. 그렇다고 길이 없는게 아니고 아주 다양한 길이 있습니다.

그 중에 한가지 방법은 우리나라의 중3까지를 마쳤다면 시도해 볼만한 것입니다. 마지막 학년과

어학을 필리핀에서 하면서 필리핀의 고등학교 졸업장을 취득하고 그 이후 싱가폴의 외국계 대학을 가는 것이 있습니다. 우리 나라 고등학교를 마쳤을때 싱가폴 대학을 가기위해 최소 1년 어학연수를 하고 아이엘츠 점수를 받고 가야합니다. 학교 성적에 따라 디플로마와 어드밴스(하이어)디플로마로 들어가는게 결정이 되고요. 그렇게 본다면 만약 고1 학생이 어학과 졸업을 빠르면 1년 늦어도 2년까지 걸린다 하더라도 필리핀에서의 졸업이 괜찮은 선택이 될수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필리핀이 후진국이라 무시하지만 필리핀은 관리형으로 영어공부를 하기엔 괜찮은 곳입니다. 필리핀이라는

나라 자체를 보고는 어학연수가 아닌 정규유학을 보내기엔 무리가 있습니다. 길도 모호하고요.

하지만 이런 경우엔 하나의 좋은 방법이 되어 줄수 있는 것입니다.

  물론 비용도 선진국에 비해 적게 드는것도 있지만 그 보다 학교나 부모님의 관리가 아무래도 먼나라에 가서 시키는것 보다 효과적입니다. 학생에게 무슨 일이 생긴다면 가 보기도 쉽고요. 선생님들께 필요한 부분에 대해 요청하는것도 쉽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1년 혹은 2년을 한 후라면 학생의 언어 경재력과 학습 경쟁력을 상당부분 끌어올린 상태에서 대학의 유학 생활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갔을때의 공부 내용이랑 방법 비용등에 대해서는 다음글에 올리겠습니다.